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Inven

MONEY - #2 돈의 생산과 규제

by 스마트혁명 2018. 11. 22.
반응형

인간은 한곳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물물교환을 편리하게 해줄 무엇인가가 필요했고


이 도구는 금으로까지 진화했습니다.


이 금을 은행에 맡기면서

은행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한 가지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자신들이 써 준 보관증이 많은 지역에서

그 신용을 인정받으면 인정받을 수록

자신의 은행에 금을 맡긴 고객들이

금은 은행에 맡겨놓고 보관증으로 모든 거래를 한다는 것을요.


이 사실을 발견한 몇몇 은행들은 머리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돈을 맡긴 사람들에게만 보관증을 내어주는게 아닌

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도 보관증을 내어 주기 시작한 것입니다.


실제로 돈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자신들의 보관증이 신용만 있다면

보관증 자체가 돈의 역활을 하기 시작한 것이었습니다





이제 은행은 실제로 돈이 없더라도

사람들에게 마음껏 돈을 빌려주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돈을 받을때 이자를 쳐서 받았죠.


돈의 맛을 본 은행은

가상의 돈을 마구 찍어내기 시작합니다.


자신들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금의 양과 상관없이

그이상의 보관증을 마구 찍어내기 시작합니다.




많은 은행이 이 방식으로 엄청난 돈을 벌기 시작하자

너도 나도 은행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문제가 발생합니다.


은행의 보관증은 보관증을 가져갔을때

은행이 금을 바꿔 줘야 그 역할을 할수 있습니다.




만약 A라는 은행에서 보관증을 수천 장 찍어내도

은행이 문을 닫아버리면

그 보관증은 순식간에 휴지 조각이 되는거죠.


이렇게 돈맛을 보려고 들어왔다가

관리부족으로 파산하는 은행들이 하나 둘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됩니다.


결국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가가 은행을 만듭니다.





국가은행이 하는 일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이전에는 은행마다 제각각이었던 보관증과 차용증의 형태를

국가의 화폐단위 하나로 통일하는것입니다.


둘째, 은행이 파산해서 손해를 보는 사람들이 적어지도록

각종 규제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 중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지급준비제도입니다.


이전까지 은행이 자신들이 돈을 얼마를 가지고있던

무분별하게 허공에서 돈을 찍어내던 것을

법적으로 규제를 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지급준비율의 기준은 상당히 낮아

여전히 은행들은 신나게 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됩니다.


대한민국의 지급준비율은 7%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은행에 사람들이 10억원을 맡겼다면,

은행은 10억원의 7%

즉,  7,000만원만 가지고 있으면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사람들이 예금으로 맡긴 나머지 9억 3천만원은

은행 마음대로 돈을 굴릴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줘서 이자를 받을수도 있고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곳에 투자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은행은 우리 생각보다

돈을 훨씬 많이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A은행에 100억원이 있다면고 가정한다면,

A은행은 93억원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B은행에서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며

93억원을 다 빌려달라고 합니다.


이제 B은행은 가지고 있는 93억원에서 7% 6.5억원을 제외한

86.5억원을 굴릴 수 있게 됩니다.


C은행이 생기면서 B은행에서 86.5억원을 빌리게 됩니다.

C은행은 7%인 6억만 보관하고 있으면

80억을 굴릴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은행 3개만 움직이면

100억원이란 돈은 순식간에 359억원이 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도는 돈의 90% 이상은 한국은행에서 찍은 돈이 아니라


이렇게 시중은행에서 지급준비제도를 통해 발생된 돈입니다.





이렇게 국가와 금융기관이 함께 손을 잡고 돈을 찍어 내면서

돈을 만드는 이들은 돈에 대한 지식을 숨기려고 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지금도 학교에서는 돈에 대해서 가르치려 들지않고

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것은 속물인 것같은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고


잘못된 돈에 대한 지식을 퍼뜨리고

오로지 근면성실한 노동만으로

돈을 벌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돈에 대한 더 많은 정보 다음 이야기에서 계속됩니다.


[출처 : 셀프메이드]



반응형